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모든 리뷰/소소한 생활정보

쌍용자동차 렉스턴 스포츠 신형(2022) 요소수 잔량 확인법, 요소수 소모량 알아보기

오늘은 렉스턴 스포츠의 요소수 잔량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젤 차량은 높은 연비 효율을 자랑하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데요,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인체에 해로우며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배기가스 때문에 오래된 디젤 차량의 경우 DPF매연저감장치를 달아야 하고, 새로 나오는 디젤 차량들의 경우 반드시 요소수를 넣어야 합니다. 요소수는 디젤차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인 질소산화물을 정화하는데 쓰이는데요, 질소산화물은 각종 호흡기 질환을 초래할 뿐 아니라, 대기 오염도 악화시키기 때문에 환경 보호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요소수

요소수란, 요소(urea, 암모니아 수용액)를 물에 녹여 만든 무색, 무취, 무미의 수용성 액체이며 불연성, 무독성의 화학물질입니다. 디젤 차량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대기오염물질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그 외에도 다양한 산업의 일부 공정에서도 질소산화물 저감을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요소수는 차량용, 선박용, 산업용 등으로 나뉘어 있으며 용도에 맞는 요소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중 차량용 요소수의 경우 경유차에 장착하는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선택적 촉매환원장치) 시스템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화학물질입니다. (SCR이란, 배출가스에 요소수를 분사함으로써 열에 의해 분해된 요소가 암모니아를 생성하게 만들고, 암모니아가 질소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환원하게 만드는 과정을 통해 질소산화물을 저감 시키는 장치입니다.)

 

렉스턴 스포츠(2022) 요소수 잔량 확인방법

쌍용자동차의 대표적인 픽업트럭 렉스턴 스포츠 와 렉스턴 스포츠 칸 또한 디젤 차량이기 때문에 반드시 요소수가 필요합니다. 요소수가 없으면 차량 시동이 걸리지 않으며, 요소수가 일정량 미만으로 부족해지면 경고음이 울리게 됩니다. 경고가 울리고 급하게 요소수를 보충할 경우 요소수 판매점을 바로 찾기 어렵고 급하게 차를 사용해야 할 때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매우 당황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요소수 부족 경고가 울리기 전 미리미리 요소수 잔량을 확인하고 부족하지 않게 채워주는 것이 가장 좋은데요 신형 렉스턴 스포츠는 계기판이 전자식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요소수 잔량 확인이 좀 더 쉽고 정확합니다. 그럼 렉스턴 스포츠 요소수 잔량 확인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렉스턴스포츠(2022) 계기판 - 요소수 잔량 확인방법

1. 핸들 오른쪽 버튼 중 메뉴 버튼(메모지 두장 겹친 모양의 아이콘)을 트립 메뉴의 항목(주행 가능 거리, 주행거리 A/B, 공기압, 요소수 레벨 등) 중 한 가지가 표시될 때까지 여러 번 눌러줍니다.

2. 트립 메뉴 중 한 가지(예시: 주행가능 거리)가 계기판 화면에 표시되었다면, 이제 요소수 레벨 화면이 나타날 때까지 MOVE 버튼을 위 또는 아래 한 방향으로 짧게 여러 번 올리거나 내려서 화면을 이동해주시면 됩니다.

3. 위 사진에서처럼 요소수 레벨을 막대로 표시한 화면을 통해 차량 내 요소수 잔량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요소수 레벨은 0 부터 1/2, 1까지의 눈금으로 표시되는데요, 이렇게 전체를 1로 놓고 표시하기 때문에 실제 요소수 잔량은 게이지 눈금을 통해 따로 계산하셔야 합니다. 

쌍용자동차 차종별 요소수 레벨 게이지 눈금의 실제 요소수량 
[G4렉스턴, 올 뉴 렉스턴, 렉스턴 스포츠/칸] 
-눈금 1 : 20L, 눈금 1/2 : 10L, 눈금 0 : 0L
[티볼리, 코란도]
-눈금 1 : 11L, 눈금 1/2 : 5.5L, 눈금 0 : 0L 

지금까지 렉스턴 스포츠 요소수 잔량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요소수는 주행 조건에 따라 소모량도 달라지며 급가속, 급출발 등 RPM이 급상승하는 주행 방법이나 고속 주행을 많이 하는 경우에는 요소수 소모량이 더욱 늘어난다고 합니다.

급가속, 급출발 없이 일반적인 주행으로 시내 주행과 고속 주행을 병행할 경우 1,000km 주행 시 요소수 1L 정도를 소모하게 되며, 저속 시내 주행만 하는 경우 3,000km 정도 주행 시 요소수 1L 정도를 소모한다고 하니, 평소 주행 방법에 따라 요소수 잔량과 소모량을 수시로 확인하시고 채워두시기 바랍니다. 주유소나 대형 마트, 인터넷 쇼핑몰 등 판매처도 다양한데요, 막상 구매하려고 보면 판매하는 곳이 눈에 띄지 않기도 합니다. 요소수 판매처와 가격 또한 미리 확인하시고 부족하지 않게 채워두고 주행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