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모든 리뷰/소소한 생활정보

선풍기, 전자레인지, TV 등 가전제품 버리는 법, 폐가전무상배출예약시스템 이용방법

집에 버리기 곤란해서 구석에 숨겨놓은 고장 난 선풍기, 전자레인지 등등 폐가전제품들이 한두 개씩은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오래된 CRT TV와 팩시밀리를 버리지 못하고 먼지만 쌓이게 구석에서 보관하고 있었는데요, 얼마 전 폐가전 무상배출예약시스템을 알게 되어 간편하게 버릴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버리는 폐가전을 무료로 수거해가는 폐가전 무상배출 서비스는 어떻게 이용하는지, 무료로 수거해가는 폐가전제품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폐가전제품 배출예약시스템 홈페이지

폐가전 무상배출예약시스템

환경부, 지자체, 전자제품 생산자가 국민이 보다 손쉽게 폐가전제품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새로운 수거 체계를 구축했는데요, 이 새로운 폐가전 수거 체계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 서비스'는 한국 전자제품 자원순환 공제조합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폐가전제품 무상배출 예약 시스템은 지방자치단체와 공제조합이 폐가전 위수탁 처리 계약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배출정보가 수집되면, 무상 방문수거가 가능하도록 수거운반체계를 구축한 시스템인데요, 폐가전제품을 버릴 때 수수료를 낼 필요도 없고, 지정된 장소로 무거운 폐가전을 운반하지 않아도 되며, 인터넷, 모바일, 전화 등으로 예약만 하면 수거 기사가 직접 방문하여 수거해가는 아주 편리한 시스템입니다. 

 

이용 방법 및 운영시간 

전국 어디서나 간편하게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는데요, 콜센터를 통해 전화예약을 하는 방법과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직접 정보를 입력하고 예약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콜센터(전국 1599-0903)
    -평일(월-금) : 8:00 ~ 18:00
    -휴무 : 매주 토, 일, 근로자의 날(5/1), 설/추석 연휴, 신정(1/1), 공휴일
  • 인터넷/모바일 (www.15990903.or.kr) 
    -온라인 예약은 별도의 운영시간 없이 365일 24시간 상시 가능
  • 수거차량 운영시간 
    -평일 및 공휴일 : 8:00 ~ 18:00
    -휴무 : 매주 일요일, 근로자의 날(5/1), 설/추석 연휴, 신정(1/1)
    (*지역에 따라 수거 가능 요일이 다름)

수거 품목

단일 수거 가능 품목

-냉장고(가정용/업소용/냉동고/김치냉장고/쇼케이스 등), 세탁기(일반세탁기/드럼세탁기/탈수기 등), 에어컨(실내기/실외기/일체형 등), TV(CRT/LCD/LED/프로젝션), 전기오븐, 자동판매기, 런닝머신, 식기건조기, 식기세척기, 복사기, 전기 정수기, 냉온정수기, 공기청정기, 전자레인지, 제습기

 

세트 품목

-오디오세트(전축), 데스크탑 PC 세트(본체 + 모니터)

 

다량 배출 품목(수량 기준 5개 이상 동시 배출 품목)

-가습기, 비디오 플레이어, 스캐너, 연수기, 음식물처리기, 전기밥솥, 전기온수기, 전기히터, 청소기, 튀김기, 감시카메라(CCTV), 빔프로젝터, 식품건조기, 영상게임기, 전기 재봉틀, 전기 비데, 전기주전자, 제빵기, 커피메이커, 헤어드라이어, 믹서기(주서기), 선풍기, 약탕기, 유무선 공유기, 전기다리미, 전기안마기(안마의자 제외), 전기프라이팬, 족욕기, 토스트기, 모니터, 노트북, 내비게이션, 팩시밀리, 휴대폰, 오디오 본체, 오디오 스피커, 오디오 포터블, 프린터

 

수거 불가 품목

가전제품

-원형 훼손 제품(냉장고 냉각기, 세탁기 모터 훼손, 온전한 형태가 아닌 분해되어 있는 제품 등)

-맞춤 제작된 대형 제품(빌트인, 냉장, 냉동 창고 등)

-전기안마기 중 안마의자

-선택품목(소형 가전제품) 5개 미만 요청 시

 

가전제품

-폐가구(장롱, 책상, 의자 등)

-러닝머신을 제외한 운동기구

-악기류(피아노, 전자 피아노 등)

-전기장판류(전기장판, 옥장판, 온수매트 등)

-의료기기(안마기, 찜질기 등)

-기타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제품류 

 

**수거 불가 품목은 관할 주민 센터 등 지자체 문의 후 배출하셔야 합니다. **

 

수거 가능 품목과 조건, 수거 불가 품목 등을 구분해서 알아봤는데요, 수거 품목이나 수거 불가 품목 중 의외인 것들도 종종 있기 때문에 신고할 품목이 수거 대상인지, 단일 품목인지 5개 이상일 때에만 수거하는 다량 배출 품목인지 등을 확인하고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지금부터 무상수거 배출 예약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 

 

폐가전제품 방문수거 배출 예약

  • 1단계 약관 동의
    약관은 모두 필수 동의 사항이며 읽어보시고 전체 동의 체크 후, 화면 오른쪽 아래 [다음 단계로]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 2단계 기본정보 입력
    수거 신청자 본인의 [이름/휴대폰 번호/배출지 주소/배출 희망일자]는 필수 입력사항이므로 정확한 정보를 기재하시기 바랍니다. 나머지 자택 전화번호, 주거 구분(단층 주택/연립/아파트 등) 및 엘리베이터 유무, 기타 메모 사항 등은 선택적으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정보를 다 입력하셨다면 하단 [다음 단계로]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 3단계 배출 품목 입력
    유의사항을 읽고 확인 여부 체크, 아래에서 배출 신고하실 가전제품을 선택하여 담아주시면 됩니다. 
    저는 TV와 팩시밀리를 버리기 위해 무상수거 배출예약을 했는데 TV는 단일 수거 품목이라 상관없지만 팩시밀리가 소형가전으로 5개 이상만 배출이 가능하다고 해서 조금 곤란했습니다. 결국 TV만 버려야겠다 생각하며 배출 예약을 진행하던 중 아래 유의사항을 발견하고 정말 반가웠는데요, 소형가전제품이 5개 미만이더라도 단일 수거 가능한 대형 가전제품을 배출하는 경우라면 함께 배출이 가능하다는 내용이었고 다행히 저는 단일 수거 품목인 TV를 버리기 때문에 소형가전 5개 미만 시에도 함께 버릴 수 있었습니다. 

출처 폐가전 방문수거 배출예약시스템 홈페이지

  • 4단계 예약 완료
    3단계까지 모두 완료 후 [다음 단계로] 버튼을 눌러 4단계 예약 완료 페이지로 오면 입력한 기본정보와 배출 품목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정할 내용이 있다면 [이전 단계로]를 클릭하시고 전단계로 가셔서 정보를 수정하시면 되고, 모든 정보를 정확히 입력하셨다면 [예약 등록]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후, 배출 희망날짜 하루 전쯤 담당자가 전화로 몇 시쯤 방문하면 되는지, 배출 장소는 정확히 어디인지 등 몇 가지 확인을 합니다. 저는 집 안에 들어와서 수거해가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건물 밖에 내다 놓고 하루 전날 전화가 왔을 때 오전 수거를 요청드리면서 배출 위치를 한번 더 설명드렸습니다. 담당자는 제가 요청드린 대로 다음날 아침 일찍 수거해 가시고 수거 완료되었다는 연락까지 주셔서 아주 편리했는데요, 배출하실 가전제품이 무거워서 밖에 내놓지 못하시는 분들은 집에 방문하여 수거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폐가전 무상배출예약시스템 이용방법과 수거 가능한 폐가전제품의 종류 및 수량 등을 알아봤습니다. 이런 무상 수거 서비스를 알지 못한 채 불법적으로 처리를 할 경우 폐냉장고 및 에어컨에 함유된 냉매가 적정한 방법으로 처리되지 않고 대기로 방출되어 지구온난화에 큰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합니다. 무상수거 서비스는 폐가전 불법적 처리를 사전에 방지하여 온실가스 감축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많은 분들이 이런 좋은 서비스를 이용해서 폐가전제품도 편리하게 버리고 환경도 보호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