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지난번에 이어 공과금 카드 자동이체 등록 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난번에는 가스요금 정기결제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전기요금 정기결제 신청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도시가스 요금 정기결제 신청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2.02.08 - [소소한 모든 리뷰/소소한 생활정보] - 공과금 카드 자동이체 등록하는 법, 현대카드로 도시가스 요금 자동납부 등록하기
저는 현대카드 Z family카드로 생활요금 할인 혜택을 받기 위해 도시가스 요금 정기결제를 신청했었는데요, 공과금을 카드로 납부하는게 편하다는 것을 느끼고 이번에 추가로 전기요금도 카드 정기결제 신청을 하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현대카드 Z family 카드의 생활요금 정기결제 7% 할인의 경우 도시가스 요금에 대해서는 할인 적용이 가능하지만, 전기요금은 할인 대상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카드 혜택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카드사에서 진행하는 이벤트 혜택이 매번 다르기 때문에 카드 발급을 고려하시는 분들은 현대카드 홈페이지를 통해 카드 혜택이나 이벤트 내용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021.04.06 - [세상의 모든 카드] - 현대카드 Z 패밀리 카드 할인혜택 및 연회비 캐시백 이벤트
그럼, 지금부터 현대카드로 전기요금 자동납부 신청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대카드 앱에서 전기요금 자동납부 신청하는 법
현대카드 앱 로그인 > 메뉴 > 생활요금납부서비스 > 정기결제 > 전기요금 선택 > 납부할 카드 선택 및 휴대전화번호, 한전고객번호 입력, 이용동의 체크 > 입력 정보 확인 후 신청 완료
앱 로그인 후 왼쪽 상단 메뉴탭을 눌러줍니다. 여기서 생활요금납부서비스 카테고리 내 '정기결제'를 선택해줍니다. 정기결제 신청 화면으로 넘어가면 여기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데요, 전기요금 선택 후 아래 '다음' 버튼을 눌러줍니다. 저는 신청 전 유의사항을 먼저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리는데요, 유의사항을 확인하지 못하고 신청 완료하신 경우 취소하기 위해서는 한전 고객센터로 문의하셔야 하기 때문에 신청 전 꼼꼼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용안내 및 유의사항을 꼼꼼히 확인하셨다면, 신청을 마무리해줍니다. 정기결제할 카드를 선택하시고 휴대전화번호 확인, 한전고객번호 입력 후 아래 이용약관까지 동의 체크해주시고 '다음'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정기결제 신청 정보 확인 단계에서 신청일, 카드번호, 휴대전화번호, 한전고객번호까지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지 확인하신 후 아래 '신청' 버튼까지 눌러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전기요금 정기결제 시에는 전기요금 납부자와 카드 명의자가 달라도 신청이 가능하며, 정기결제 신청 시 한국전력공사 고객번호 10자리 확인이 필수사항이기 때문에 신청 전 고객번호를 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납부자와 카드 명의자가 달라도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타인의 고객번호를 잘못 입력하지 않도록 정확히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한전 전기요금 납부 취급기관
은행계좌 : 은행,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우체국 및 농협, 수협 등
신용카드 : 신한, 삼성, 비씨, 국민, 외환, 롯데, 현대, 수협, 농협, 광주, 전북, 하나SK 등
증권계좌 : 유안타, KB, 미래에셋, 대우, 삼성, 한국투자, 우리투자, 하이투자, HMC투자, 키움, 대신, 한화, 하나대투, 에스케이, 신한금융투자, 동부, 유진투자, 메리츠, NH농협, 부국, 신영 등
전기요금 자동납부 할인 혜택
전기요금 1% 할인(1,000원 한도) / 단, 신용카드 자동납부 시 할인 적용되지 않음.
지금까지 전기요금 신용카드 정기결제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카드사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서도 신청이 가능하지만,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를 통한 신청이나 한전고객센터(국번없이 123)로 전화 신청도 가능한데요, 고객번호를 미리 확인해놓으시면 신청하실때 편리합니다. 마지막으로 전기요금 정기결제 시 최초 납부 예정월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텐데요, 현대카드 앱에서 전기요금 정기결제를 신청하는 경우 신청 완료 후 신청내역 화면에서 최초 납부 예정월일 확인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저는 불안해서 신청 완료 후 한전 고객센터(123)로 별도 문의했습니다. 정기결제 신청 시에는 최초 납부월이 언제인지 꼭 확인하시고 이용하셔서 미납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소소한 모든 리뷰 > 소소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건강보험 연말정산, 2021년도 직장가입자 보수총액통보서, 신고기간 (0) | 2022.03.01 |
---|---|
사진 배경 지우는 법, 포토샵 없이 누끼따기 사이트 추천 (0) | 2022.02.18 |
공과금 카드 자동이체 등록하는 법, 현대카드로 도시가스 요금 자동납부 등록하기 (0) | 2022.02.08 |
사진 번역하는 법, 파파고 번역기 이미지 번역 기능 소개 (0) | 2022.02.06 |
휴대폰으로 문서 출력하기, 모바일 프린트 연결 방법 및 휴대폰 사진, 문서 출력하는 법 (0) | 2022.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