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및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를 앱으로 확인하는 방법과 건강보험공단에 전화하지 않고도 직접 팩스 발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신용카드를 처음 발급받을 때 겪었던 불편했던 부분과 거기서 알게 된 정보입니다.
신용카드는 갚을 능력이 있는지 검증이 되지 않으면 발급하기 어려운데요, 그래서인지 처음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어느 카드사든 직업을 확인하게 됩니다. 직업이 없는 경우 별도의 경제적 능력을 확인하게 되는데요, 직장인이나 사업자처럼 명확하게 직업이 있는 분들은 확인이 쉽습니다. 저도 직장에 들어가고 처음으로 신용카드를 발급했었는데요, 신용카드 발급을 위해서는 나의 직업이나, 납부 능력이 확인되어야 한다는 것을 그때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신용카드를 처음 발급할 당시, 저는 직장에 다닌 지 이제 막 한 달이 조금 넘었을 때였고 4대 보험이 가입되는 직장이었습니다. 인터넷으로 카드 발급 신청을 하고 5분 정도 지나니, 카드사 상담원이라며 전화가 한통 걸려왔습니다. 그리고는 이런저런 저의 재직 정보를 묻기 시작했습니다. 직장 전화번호를 물어보는 부분에서 조금 불쾌하기까지 했었는데요, 직장에 다닌 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카드 발급 때문에 직장에 재직 전화를 해야 된다는 부분이 많이 불편했습니다. 아마 저처럼 직장에 재직확인 전화가 가는 것을 원하지 않는 분들도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저는 상담사에게 재직 전화는 원하지 않으니, 다른 방법이 없다면 카드 발급은 하지 않겠다고 말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상담사는 건강보험이 가입되어있다면 자격득실 확인서를 팩스로 보내달라는 말을 했었는데요, 저는 그때까지만 해도 자격득실 확인서가 뭔지 몰랐습니다. 신용카드 발급이 원래 이렇게 복잡한 것인가 싶고 체크카드나 쓸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일단 상담사에게 설명을 듣고 시도해보았습니다.
잘 모를 때에는 이렇게 복잡한 일이 또 없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해보니 아주 간단하고 쉬운 방법이었는데요, 그럼 저처럼 신용카드를 처음 발급하는 사회 초년생 여러분이 재직확인 전화 없이 신용카드를 발급할 수 있는 방법인,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및 납부 확인서 발급에 대해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흔히 말하는 4대보험 가입 직장에 재직 중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하면서 확실한 방법이 바로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입니다. 건강보험공단에 내가 어떤 자격으로 가입이 되어있는지를 알 수 있는데요, 조회해보면 본인이 직장가입자인지, 지역가입자(세대주)인지 또는 피부양자인지 알 수 있습니다. 보통 신용카드 발급 시 직장가입자 또는 지역가입자 세대주의 경우에만 이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로 결제 능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지역가입자 세대원, 피부양자의 경우 인정되지 않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자격득실 확인서로만 확인을 하지만 가끔 나이가 많이 어리거나, 신용점수(과거 신용등급)가 많이 낮은 경우 등 예외적인 상황들이 있을 때에는 자격득실 확인서뿐만 아니라 건강보험 납부 확인서라는 것을 함께 요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은 최근 3개월 납부 내역을 요청하는데요, 사회 초년생 분들이라면 그냥 처음부터 직장에 다닌 지 4~5개월 정도 지났을 때 카드 발급을 신청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및 건강보험 납부 확인서 발급 방법
자격득실확인서 및 납부확인서를 발급하는 방법은 건강보험공단에 전화로 요청하는 방법, PC 홈페이지를 통해 발급하는 방법, 스마트폰 모바일 앱으로 발급하는 방법 등 다양한데요, 대부분 처음엔 보험공단에 전화를 해서 요청하지만, 콜센터에 전화를 한번 해보신 분들은 아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전화 연결이 아주 오래 걸립니다. 아무래도 기본 2~3분 대기를 해야 상담원과 통화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쁠 때는 정말 불편합니다. 또한, 전화로 요청할 경우 상담원이 제 개인 정보를 조회하고 들여다본다는 것이 꺼려지기도 하고, 보이스피싱에 대한 불안도 커지고 있기 때문에 요즘은 전화보다는 PC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에서 자신의 정보를 직접 조회하고 필요 서류를 발급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 건강보험공단 1577-1000 전화하기
건강보험공단 대표번호 1577-1000 전화걸기 > 상담사 연결 0번
상담사가 연결되면, 본인 확인 후 자신에게 필요한 서류 이름과 보낼 팩스번호를 말하면 됩니다.
예시) 자격득실확인서랑 보험료 납부확인서 최근 3개월치 팩스 보내주세요, 팩스번호 00-0000-0000입니다.
개인정보에 별로 민감하지 않고, 통화를 길게 해도 상관이 없는 경우, 이 방법이 가장 간단할 수 있습니다. -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PC)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 > 상단 '민원 여기요' 아래 '개인민원' 클릭 > 증명서 발급 / 확인 탭에서 원하는 증명서 조회 및 발급 가능
- The 건강보험(더 건강보험) _모바일 앱
더 건강보험 앱 다운로드 > 앱 로그인 > 상단 증명서 아이콘 선택 > 발급할 서류 이름 선택 > 조회 및 팩스 발송
자격득실 확인서의 경우 그냥 조회해서 최근 자격 상태만 체크하고 발급하면 되는데요, 보험료 납부확인서는 요청하는 기간이 있기 때문에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등 시작 년, 월과 종료 년, 월을 직접 입력 후 조회를 하셔야 합니다.
모든 조회가 끝나면, 안내받았던 팩스번호를 직접 기입하고 팩스 발송 버튼을 눌러줍니다. 발송이 끝나면 팩스 처리 결과를 확인할 것인지 묻는 팝업창이 나오는데요,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간혹, 팩스 발송이 중간에 완료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결과를 확인하시고 안 보내졌을 때에는 다시 한번 빠르게 보내시는 게 좋습니다.
지금까지 건강보험료 자격득실확인서 및 보험료 납부확인서를 발급하고, 팩스 발송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물론, 카드 발급 시 반드시 자격득실 확인서로 증명이 된다 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제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가장 간편하게 카드를 발급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해서 소개해보았는데요,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카드 발급 외에도 자격득실 확인서나 납부확인서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쯤 알아두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소소한 모든 리뷰 > 소소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지역화폐 모바일 간편결제 방법 과 6월 소비지원금 혜택받기 (0) | 2021.06.07 |
---|---|
간단한 밑반찬 만들기 알토란 가지볶음 만드는 법 가지의 효능과 보관법 (0) | 2021.06.06 |
키움증권 비대면 계좌개설 이벤트 40달러 받고 미국주식 시작하는 방법 (0) | 2021.05.28 |
정부 외식 쿠폰 이벤트 사용방법 과 신한카드 BC카드 보너스 이벤트 알아보기 (0) | 2021.05.25 |
피부 발진 대상포진 증상 과 예방법 면역력에 좋은 음식 알아보기 (0) | 2021.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