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알뜰교통카드에서 지난 5월부터 전환된 k-패스의 이용방법과 적립 혜택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요즘은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긴 하지만, 아직까진 지역이 서울에만 한정되어 있다는 점, 지하철 역간 연계문제나 서울 외 타 지역과의 환승 과정에서 불편한 부분이 많다는 점등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신분당선으로 환승하시는 분들의 경우, 이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또한, 기후동행카드는 30일 정기권(따릉이 포함)으로 이용 시 65,000원(만 19세~39세 청년은 58,000원)으로 매일 하루 2번 이상 지하철이나 따릉이를 이용하시는 분들에게는 절약이 될 수 있지만 저처럼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손해일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알뜰교통카드인 k패스를 이용하시는 것이 절약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 알뜰교통카드에서 전환된 k패스의 이용 방법, 적립혜택, 지원대상, 적립률, 참여지역 등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교통비 절약을 위한 K-패스 활용법을 지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K-패스란 무엇인가?
K-패스는 기존 알뜰교통카드가 2024년 5월부터 전환된 대중교통 할인 카드입니다.
K-패스 적립 혜택
- 지원 대상: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 주민(만 19세 이상, 외국인 포함)
- 적립 수단: 전국 버스, 지하철, GTX 등(단, 시외(고속) 버스, KTX, SRT, 공항버스 등 제외)
- 적립률: 일반 20% 적립 / 청년(만 19~34세) 30% 적립 / 저소득층 : 53% 적립
- 적립 기준: 월 15회 이상 사용, 최대 60회까지 적립
- 적립 기간: 매월 1일 ~ 말일
- 적립 금액: 월 최대 20만원까지 전액 인정, 20만원 초과 시 이용 요금의 50%만 적용됨.
(월 60회분에 해당하는 금액이 22만 원인 경우 20만 원+(2만 원 x 50%)= 21만 원 -> 21만 원에 대한 20% (일반) / 30%(청년) / 53%(저소득) 환급률 적용) - 지역 별 추가 혜택 : 별도의 가입 없이, K-패스 회원 중 해당 지자체 주민에게 자동 적용. 매월 말일 나의 지자체가 확정되어, 지자체 혜택 적용됨.
- 적립금 지급일: 적립 월의 익월 5영업일에 이용중인 카드사로 최종 지급 금액을 지급함.
K-패스의 장점
- 전국 17개 시도, 189개 시군구에서 사용 가능(자세한 이용 가능 지역은 K패스 홈페이지 참고)
- 대중교통 사용 횟수에 따라 캐시백 적립
K-패스 사용 방법
1.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k-패스 회원전환 시, 사용 중인 알뜰교통카드와 계정 그대로 k-패스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4월 30일까지 회원전환을 하지 않는 경우 회원 전환일 또는 k-패스 신규 가입일부터 혜택 적용됨.
-알뜰교통카드 적립 : 2024년 4월 30일 이용내역까지
-전환 기간 : 2024년 6월 30일까지 홈페이지에서(전환일부터 K-패스 환급 적용)
-k-패스 적용 : 2024년 5월 1일 이용내역부터(5월 1일 이후 전환 시 전환일부터)
2. K-패스 카드 신규 가입
K-패스 또는 알뜰교통카드 준비 -> K-패스 회원가입 완료 -> K-패스 홈페이지 상단 ‘MY’ 메뉴에서 내 정보 확인 가능
[K-패스 홈페이지 > 회원가입 클릭 > 발급받은 K-패스 카드 번호 16자리 인증 > 필수약관동의 > 휴대폰 본인인증 > 주소지 검증 > 가입정보 입력 > 가입 완료]
이렇게 홈페이지 가입이 완료되면,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메인화면 왼쪽에서 내 카드, 당월 적립금액, 이용 횟수, 적립내역, 전월 지급 금액 등을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정보를 확인하고 싶으시면 상단 메뉴 중 ‘MY’ 선택 > 내 정보, 내 카드, 적립내역, 지급내역, 나의 지자체, 저소득 정보 등을 확인하실 수 있고, 회원 탈퇴도 가능합니다.
K-패스 카드 발급하기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소지하고 계신 분들은 바로 회원가입을 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카드가 없는 신규 고객인 경우, 회원가입 시 카드 발급이 필수이기 때문에 카드 발급을 먼저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카드 발급 후 k-패스에서 회원가입을 하셔야 적립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K-패스 카드 종류
K-pass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카드를 조회해 보시면 총 27개의 카드가 나옵니다. 카드사에 따라 선불/후불 및 체크/신용으로 나뉘어 있으며, 대부분 실물카드가 있지만, 모바일 카드도 있습니다. 자신의 필요에 따라 원하시는 카드사와 카드 혜택을 비교해 보시고 발급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각 카드사에 따라 다르니, 해당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K-패스 공식 홈페이지 https://korea-pass.kr/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지금까지 교통요금 할인받는 K-패스 카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최근 언론을 통해서 많이 알려진 것 같은데요, 알뜰교통카드는 그 편리성과 혜택에 비해 많이 알려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홈페이지뿐만 아니라 앱에서도 가입 및 이용이 가능합니다. 교통비 절약하기 좋은 K-패스를 앱으로 간편하게 가입하고,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패스 카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카드사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라며, K-패스 적립기준이나 할인율, 지자체 혜택 등의 자세한 내용은 k-패스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교통요금 할인 카드라고 하지만,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의 기능이 포함된 카드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발급 전 충분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