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사업자 등록증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이미 등록한 사업장 주소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업자 등록증 신청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2.03.18 - [소소한 모든 리뷰/소소한 생활정보] - 홈택스에서 사업자등록증 발급하는 방법, 스마트 스토어, 애드센스 업종코드 알아보기
사업자 등록증상의 정보를 정정하는 이유는 사업장 대표가 바뀌거나, 상호가 바뀌거나, 사업장 주소지가 바뀌는 등 다양한데요, 저는 이번에 주소지를 변경하기 위해 정정신청을 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홈택스에서사업자등록증 정정신청하는 방법과 부모님 댁을 사업장 주소로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홈택스 사업자등록증 정정신청 방법
먼저, 홈택스 인증서 로그인 후, [신청/제출] > [사업자등록신청/정정 등] > [사업자등록정정(개인)] 을 클릭해줍니다.
정정하려는 본인의 사업자등록번호를 확인하고 오른쪽 [조회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정정할 내역을 체크하고 [다음]버튼을 클릭해줍니다. 정정 사항 선택 항목은 [상호 및 연락처 / 사업장소재지 / 업종 / 송달 장소] 의 네가지 입니다. 저는 사업장소재지(임대차) 정정 항목만 정정할 것이기 때문에 나머지는 정정하지 않음에 체크하였습니다.
이제 본격적인 정정 신청 절차가 진행됩니다.
기본정보를 잘 확인하신 뒤, 국세정보문자수신동의 항목을 체크해줍니다. 동의함/동의하지 않음 중에 선택하시면 되는데요, 체크하지 않고 지나치더라도 마지막 단계에서 체크하라는 팝업이 나타나기 때문에 지금 단계에서 체크하시는 것이 덜 귀찮습니다.
이제 변경된 사업장 소재지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임대차 내역은 복잡해서 정보를 따로 입력하지는 않고 넘어갔습니다. 괜히 잘못입력하는 것 보다는 입력하지 않고 넘어가고, 어차피 수정할 내용이 있으면 관할 세무서에서 연락이 오기 때문에 그때 자세히 물어보는 것이 낫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임대차 내역에 변동이 생기신 분들은 여기서 수정해주시면 되는데요, 사업장 소재지 이전 또는 계약 갱신의 경우 기존 입력된 내역의 오른쪽 [수정] 버튼을 클릭, 계약 종료하신 뒤 임대차 입력 버튼을 클릭해 새로 추가하시면 됩니다. 사업장이 타인소유에서 본인소유로 변경이 된 경우에는 [수정] > 계약 종료 처리 하시면 되며, 새로운 임대차 내역을 추가하고 싶을 경우 '임대차 입력', 추가한 내역을 삭제하거나 계약 종로로 수정했던 기존 임대차 내역을 복구할 때는 '선택내용 삭제', 기존 임대차 내역에 대한 계약 종료 시에는 '수정' 버튼을 눌러서 정정하시면 됩니다.
위에서 국세정보문자수신동의 체크를 안하셨다면 이런 팝업이 나타나실겁니다. 확인을 누르시고 다시 위로 올라가 동의여부를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등록하시는 주소지가 본인 소유가 아닐 경우, 임대차 계약 서류도 첨부해야 하는데요, 저는 정정신청 당시 서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첨부하지 않고 다음으로 넘어갔습니다. 뒤늦게 세무서의 연락을 받고 찾아보니, 부모님 댁으로 주소를 이전하더라도 본인 소유가 아니기 때문에 임대차 계약서가 필요하며 돈을 받고 빌려준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무상임대차계약서를 작성하여 첨부하면 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무상임대차 계약서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첨부서류 확인을 마치고, 최종적으로 신청서 제출을 완료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이제 정상적으로 정정신청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홈택스 민원신청 결과 조회
상단 메뉴 [민원증명] > [민원증명 신청/조회] > [민원증명 민원신청결과조회] 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접수 일자를 설정하고 조회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해당 기간동안 자신이 인터넷으로 신청한 접수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저는 정정신고를 했다가 잘못 입력한 부분이 있어서 취소 후 재접수를 했는데요, 저처럼 잘못 입력하신 분들은 처리 전 취소하시고 재접수하시는 것이 가능합니다.
저는 이렇게 정정신청을 하고 이틀만에 관할 세무서에서 연락을 받았는데요, 사업장 주소지가 본인소유가 아니기 때문에 서류가 필요하다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부모님 댁이고 무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서류가 필요 없을거라고 생각했는데, 등본상 거주지와도 다르기 때문에 증빙할 서류가 필요했습니다. 바로 무상임대차 계약서인데요, 임대차 계약이라고 해서 어렵게 느끼실 수 있지만 아주 간단한 양식으로도 작성할 수 있었습니다.
무상임대차계약서
무상 임대차 계약서란, 임차인이 임대인으로부터 임대료 없이 무상으로 빌려서 사용하기로 하며 작성하는 문서를 말합니다. 저는 부모님 댁을 사업장으로 이용하기 위해 부모님께 임대를 하는 것이지만, 사실상 무료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상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해야 했는데요, 무상 임대차 계약서도 용도에 따라 양식도 다양하고, 계약 시 주의해야 하는 사항도 많기 때문에 잘 알아보고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부모님과 형식상 계약을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아주 간단한 양식으로 작성했는데요, 임대차 부동산 표시 및 용도, 임대인, 임차인, 임대차 기간, 임대료, 계약일자, 임대인 서명, 임차인 서명으로 구성되어 있는 서류로 네이버 지식백과 비즈폼 서식사전의 양식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
무상임대차 계약서 상의 소재지는 등록하시려는 사업장 소재지입니다. 해당 주소지의 면적이 궁금하신 분들은 씨리얼에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씨리얼에서 부동산 정보 열람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2.03.04 - [소소한 모든 리뷰/소소한 생활정보] - 공시지가 인터넷으로 확인하는 방법, 씨리얼 부동산 정보열람하기
임대차 부동산 용도 또는 목적은 사업용 이라고 기재했습니다. 임대인은 빌려주는 사람, 임차인은 빌리는 사람의 이름을 기재하였고 혹시 몰라서 생년월일까지 함께 기재했습니다. 임대차 기간은 넉넉하게 4년정도로 정해서 기간을 입력해주었습니다. 임대료는 무상이라고 적어주었고, 아래 임대인, 임차인 서명란에 각자의 이름과 싸인을 기재하였습니다. 이렇게 해도 되나 싶게 간단한 양식으로 작성했는데요, 첨부하고 하루만에 사업자등록정정 처리 완료 문자를 받아볼 수 있었습니다.
아마 저 처럼 부모님 댁을 사업장 주소지로 등록할 때 필요한 서류에 대해 알아보면, 서류가 없어도 된다는 얘기부터 등본, 가족관계증명서, 무상임대차계약서까지 다양한 서류가 필요하다는 내용까지 다양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저도 어떤게 정답인지 몰라 고민했는데요,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무상임대차계약서를 작성하여 첨부하는 것이 가장 간단한 방법같습니다. 다만, 관할 세무서마다 필요로 하는 서류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내용은 관할 세무서로 전화하셔서 문의하시는게 좋습니다.
관할 세무서가 어딘지 찾는 방법도 간단합니다.
[국세청 홈페이지] > [국세청 소개] > [전국 세무관서] > [지역으로 찾기] 에서 사업장 주소지를 검색하시면, 해당 주소지의 관할 세무서가 어디인지 알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사업자 등록 정정 신청을 홈택스에서 셀프로 진행하는 방법과 부모님 댁을 사업장으로 등록할 때 필요한 무상임대차 계약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막상 셀프로 해보니 생각보다 더 간단했고, 특히 무상임대차계약서는 복잡하고 어려운 내용이 가득있을 것 같아 걱정했던것에 비해 너무나 쉽고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었는데요, 저는 부모님과 형식상의 계약서를 작성했기 때문에 이렇게 간단했지만, 아무리 무상이라고 하더라도 타인과의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실 때에는 충분히 주의사항을 알아보시고 계약하시기 바랍니다.
'소소한 모든 리뷰 > 소소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자용 픽업트럭 추천, 쌍용 2022년형 신형 렉스턴 스포츠 구매후기 (0) | 2022.03.23 |
---|---|
아이패드 OS 15.4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손글씨 한글지원, 아이패드와 유니버설 컨트롤 기능 (0) | 2022.03.22 |
2022년 국내주식 휴장일 및 거래시간 알아보기 (0) | 2022.03.20 |
미국주식 거래 시간, 2022년 휴장일, 썸머타임 알아보기 (0) | 2022.03.19 |
홈택스에서 사업자등록증 발급하는 방법, 스마트 스토어, 애드센스 업종코드 알아보기 (0) | 2022.03.18 |